단통법은 애초 일부 이용자에게만 과도한 지원금을 지급하는 등의 차별 행위를 규제하자는 취지로 2014년 10월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실제 단통법 도입 이후 차별이 방지되기보다 이용자에게 지급되는 지원금이 축소되는 등 이용자 후생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폐지 법률안은 지원금 공시 제도와 추가지원금 상한을 없애고, 선택약정 할인은 전기통신사업법에 이관해 유지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이동통신단말장치 구입비용 구분 고지 의무 등은 전기통신사업법으로 이관하도록 했다.
'AI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AI 기본법)은 생성형 AI 워터마크 표시, 고영향 AI 규제,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구성과 운영, 인공지능 영향 평가 등 내용을 담았다.
워터마크 표시는 AI를 기반으로 한 영상과 사진에 워터마크를 넣도록 해 딥페이크(AI로 만든 영상 조작물) 등 악용 피해를 막으려는 취지다.
신체 안전, 범죄 관련 생체 정보, 채용, 대출 등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다루는 AI는 '고영향 AI'로 규정했다. 고영향 AI는 정부가 사업자에 신뢰성과 안정성 확보 조치를 요구할 수 있도록 했다. AI 산업을 지원할 방안으로는 대통령 소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설치를 규정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예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