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해 내성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앞으로 감기 등에 항생제 처방이 제한된다. 또한 항생제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항생제 바로쓰기 운동본부’가 출범한다.
정부는 11일 오전 9시30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6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세계적인 위협으로 급부상한 ‘항생제 오남용’을 막기 위해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5개년 계획을 확정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복용할 경우 일부 세균에서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게 된다. 점차 내성이 생기게 되면 치료 가능 항생제는 줄어들게 된다. 치료 불가능한 신종 감염병과 유사한 파급력을 가지는 셈이다.
이중에서도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률이 높다. 2014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산출기준이 유사한 12개국 평균은 23.7명(하루 동안 인구 1천명 기준)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31.7명에 달한다. 항생제 내성률 역시 장알균의 반코마이신 내성률이 한국은 36.5%이지만 영국 21.3%, 독일 9.1%, 프랑스 0.5%다.
영국 정부 짐 오닐(Jim O'Neill) 보고서(2016년 5월)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2050년에는 전세계에서 연간 1천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5월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항생제 내성 문제 대응이 필요하다며 국제 공조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에 정부는 항생제 사용량을 2020년까지 25.4명으로 줄이겠다고 목표를 세웠다. 특히 감기는 바이러스 질환이라 항생제 처방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지만 처방률이 높은 만큼 이에 대한 외래관리료 가감률을 기존 1%에서 3%로 확대한다.
또 항생제 처방이 높은 질환에 대한 지침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항생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진료현장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감염관리실 설치 대상병원을 확대하고 감염전문일력이 항생제 관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가 보상방안도 마련한다.
내성균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신·증축 시 4인실 중심으로 다인실 개편 △격리병실 설치 의무 등과 같은 시설기준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가축에 사용되는 항생제도 관리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닭의 대장균 플로르퀴놀른계 내성률이 79.7%에 달한다. 덴마크 6%, 일본 5.4%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를 막기 위해 노후화된 축사의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농장단계 해썹(HACCP) 인증 시 항생제 사용기준에 대한 인증 요건을 강화한다.
일반인들의 항생제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항생제 바로쓰기 운동본부’도 출범시킨다. 캠페인은 구체적으로 ‘감기에는 항생제 먹지 않기’ ‘남겨둔 항생제 임의로 먹지 않기’ ‘항생제는 의사 처방대로 복용량·복용기간 준수하기’ 등 일반인들이 실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문지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