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박용진 의원 "주가 30% 이상 하락시 국내 증권사 건전성 심각한 타격"
상태바
박용진 의원 "주가 30% 이상 하락시 국내 증권사 건전성 심각한 타격"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16.09.27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가가 30% 이상 하락만 해도 증권사 건전성에 상당한 충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7년 외환위기 당시 주가는 54% 하락했고, 08년 외환위기 당시는 41% 하락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증권사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가가 30% 이상 하락하면 증권사 상당수가 건전성에 상당한 충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 4월 45개 증권사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별 주요 변수에 따른 손익과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의 변화를 분석했다. NCR는 총위험액에 대한 영업용순자본의 비율로, 증권사의 재무 건전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보통 150% 이하로 떨어지면 심각한 수준의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여기고 있다.

테스트 대상 증권사는 자기자본 기준으로 1조원 이상 대형 증권사 11곳과 3천 억원 이상 1조 원 미만인 중형사 17곳, 3천억 원 미만인 소형 증권사 17곳이다. 기준 시점은 작년 11월 말로 당시 코스피 지수는 1,997.97,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1.785%, 원/달러 환율은 1,158.0원이었다.

12.jpg
박 의원 측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지수가 10% 하락(1,792.77)하면 소형 증권사의 평균 손실은 400억 원 발생하고 NCR는 187.2%로 떨어졌으며 지수가 30% 이상 내려가면 손실액은 평균 2천억 원으로 NCR는 171.1%로 하락했다고 주장했다.

지수가 30% 내려가면 중대형 증권사도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형 증권사는 1조9천억원의 손실이 생기고 NCR는 872.1%로 하락했다. 중형은 1조1천억의 손실을 보면서 NCR가 268.5%로 낮아졌다.

1997년 외환위기 때 수준으로 주가가 55% 추락하면(코스피 지수 869.39) 소형 증권사의 NCR는 150% 선 밑으로 추락해 149.7%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금리나 환율은 증권사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주가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 증권사의 경우 금리가 3%포인트 상승해도 NCR는 184.0%로 내리는 데 그쳤고 환율이 10% 하락했을 때도 NCR는 197.8%로 큰 변화가 없었다.

박 의원은 "올 하반기 주식시장에 단기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예측이 가능한 상황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이 나서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방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