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소관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도교육청, 경기도, 경기도농수산진흥원 등 도내 친환경 급식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 마련에 대한 논의도 일부 전개된 가운데 해법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김 의장은 이날 오후 의장실에서 ‘경기도교육청 식재료 저가 경쟁 입찰 체제 도입 저지 경기도 시민사회 공동대책위’와 정담회를 가졌다.

공동대책위는 정담회에서 “도교육청의 학교급식 구매지침이 시행될 경우 친환경 농산물 공급 망이 무너지고 급식 품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며 도교육청의 지침 변경 계획 전면 철회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의장은 학교급식은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된 만큼 식재료의 질과 공급 안정성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의회와 도·도교육청, 농수산진흥원, 시민단체 등이 함께하는 친환경 무상급식 발전 방안 협의체를 구성해 학교급식 공공조달체계 강화부터 무상급식의 장기 발전 방안을 그려나갈 논의의 장이 필요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어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논의가 선행되지 않은 이번 지침은 철회되고 관계 기관과 함께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교육청은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과 관련 그동안 횟수 제한 없이 활용해 온 동일 업체와의 수의계약을 연간 최대 5회로 제한하는 지침을 마련했지만 시민단체와 농업인연합회 등의 반대로 시행을 보류한 상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