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시중에 유통 중인 삼성전자, LG전자, 로보락, 다이슨, 샤오미, 드리미 아이룸, 디베아, 틴도우, 아이닉 등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최대흡입력을 시험평가하고 제품별 표시·광고 내용을 조사 및 검증했다고 18일 밝혔다.
시험평가 및 조사 결과 10개 중 3개의 제품만 표시된 흡입력 수치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스칼은 제품 작동 중 내부의 기압 상태인 ‘진공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청소기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성능과는 사실상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시험대상 10개 제품 모두 핵심 성능으로 흡입력을 표시·광고하고 있었으나 제품별로 흡입력을 표시하는 단위가 달라 소비자가 객관적으로 제품의 성능을 비교하기 어려웠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2개 제품은 표시 단위로 국제표준(IEC) 흡입력 단위인 와트(W)를, 다이슨과 드리미 등 2개 제품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표준에서 통용되는 단위인 에어와트(AW)를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 ▲로보락 ▲샤오미 ▲아이닉 ▲아이룸 ▲디베아 ▲틴도우 등 6개 제품은 진공도 단위인 파스칼(Pa)을 최대흡입력으로 표시·광고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와트와 에어와트로 표시되는 경우 ‘십’의 자리 또는 ‘백’의 자리값인 반면 진공도 단위인 파스칼은 ‘만’의 자리값을 가진다.
따라서 파스칼로 표시·광고하게 되면 소비자가 제품 성능(흡입력)이 더 좋은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시험대상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국제표준에 따라 최대흡입력을 와트로 측정하고 제품별 표시·광고 수치와 비교한 결과 진공도인 파스칼로 흡입력을 표시한 제품은 소비자가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오인할 여지가 있어
주의가 필요했다.
1만8000~4만8000파스칼 범위의 진공도 값을 흡입력인 것처럼 표시·광고한 ▲로보락 ▲샤오미 ▲아이닉 ▲아이룸 ▲디베아 ▲틴도우 등 6개 제품의 실제 최대흡입력은 58~160W 범위였다.
이는 단위를 제외하고 단순 수치만 비교할 경우 표시·광고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