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해킹 수법 빠르게 진화…금융권 보안 강화해야"
상태바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해킹 수법 빠르게 진화…금융권 보안 강화해야"
  • 이철호 기자 bsky052@csnews.co.kr
  • 승인 2025.09.19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롯데카드에서 고객 297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해킹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금융당국이 금융권에 정보유출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투자 강화를 주문했다.

금융회사 보안 실태에 대한 점검은 물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 제도 개선에도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을 통해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와 관련한 그간의 진행경과와 정부의 대응 방향을 설명했다.

이번 브리핑은 KT 고객의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 등 통신·금융 등에서 잇달아 해킹 피해가 발생함에 따른 것이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왼쪽)이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에서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와 관련한 진행경과와 정부의 대응방향을 설명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왼쪽)이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에서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와 관련한 진행경과와 정부의 대응방향을 설명했다.

권 부위원장은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와 관련해 "개인신용정보가 제한적으로 유출된 269만 명은 유출정보만으로는 부정사용 가능성이 없다"며 "남은 28만 명도 부정사용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단말기에 카드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키인'의 경우 일부 가맹점에서 취약점이 제기돼 이미 이상거래탐지시스템 등을 강화해 탐지·차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롯데카드의 소비자 보호조치가 차질없이 이뤄지도록 면밀히 관리·감독해 나가겠다"며 "금융감독원 조사결과에 따라 위규사항이 확인될 경우 일벌백계 차원에서 엄정한 제재를 취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해킹 기술과 수법이 보다 치밀해지고 교묘하게, 빠르게 진화하는 반면, 우리 금융권의 대응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며 "보안투자를 불필요한 비용이나 부차적인 업무로 여기는 안이한 자세가 금융권에 있지 않은지 냉정하게 돌아봐야 될 시점"이라고 꼬집었다.

권 부위원장은 "최근의 일련의 사태를 계기로 국민들이 금융회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보안 실태에 대한 밀도 높은 점검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제도 개선에 즉시 착수했다"며 "금융회사 CEO 책임 아래 전 전산시스템과 정보체계 전반을 긴급히, 신속히 점검토록 하고 금감원과 금융보안원 등을 통해 점검 결과를 면밀히 지도·감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보안사고 발생 시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엄정한 결과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징벌적 과징금 도입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는 한편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의 권한 강화, 소비자 공시 강화 등도 발굴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불가피한 침해사고 발생 시 금융회사가 신속히 시스템을 복구하고 즉시 적절한 피해자 구제에 나설 수 있도록 제도 개선 과제도 발굴·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권 부위원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서 다시 한번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국민 여러분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사태 수습과 근본적인 제도 개선 방안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마무리했다.

브리핑 후 권 부위원장은 지난 2014년에도 롯데카드에서 정보유출 사고가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 "그동안 보안에 대해 소홀히 했거나 제도를 제대로 지켰는지를 금감원이 확인하고 있다"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엄중히 제재하겠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로 유출된 개인정보로 인한 결제 피해 가능성에 대해서는 "0.0% 수준의 아주 낮은 정도로 보고 있다"며 "다만 어떤 형태로든 가능성은 열려 있기에 유출의 정도에 따라 고객에게 비밀번호 변경, 카드 재발급 등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의 국정감사 소환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그런 부분에 대해서 필요로 하면 아마 국회에서 판단할 사항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