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상품백서] 카드사별 PLCC 강점은?...신한-렌탈가전, 국민·롯데-쇼핑, 삼성-교통, 하나-간편결제
상태바
[상품백서] 카드사별 PLCC 강점은?...신한-렌탈가전, 국민·롯데-쇼핑, 삼성-교통, 하나-간편결제
  • 이은서 기자 eun_seo1996@csnews.co.kr
  • 승인 2025.09.09 0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비 절감을 고민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이젠 카드 혜택 비교가 일상이 됐다. 카드사들도 이에 발맞춰 특정 브랜드와 협업한 PLCC로 차별화된 혜택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카드사별 PLCC는 제휴한 브랜드에 따라 할인 혜택이 달라 소비자들이 원하는 영역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신한카드는 렌탈 가전, KB국민카드는 온라인 쇼핑, 현대카드는 자동차, 삼성카드는 고속철도(교통), 하나카드는 간편결제, 롯데카드는 오프라인 쇼핑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특정 브랜드에 특화된 PLCC라도 국내외 가맹점에서 이용 시 결제금액의 0.2~0.5%를 할인해 주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쿠팡 와우 KB국민카드, KTX 삼성카드, 롯데멤버스 롯데카드 등이 있다.
 


신한카드가 이달초 출시한 ‘코웨이 신한카드’는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 코웨이의 렌탈 제품에 특화돼 있다. 

전월 이용 실적에 따라 구간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용실적이 30만 원 이상 70만 원 미만인 경우 1만3000원을 할인해준다. 이어 70만 원 이상 150만 원 미만인 경우 1만7000원, 150만 원 이상인 경우 3만 원까지 할인된다. 최초 신규 발급 시에는 카드 사용 등록 시점부터 2개월 간 실적 관계없이 1만3000원 할인된다. 

KB국민카드의 쿠팡 와우카드는 2023년 2월 출시 이후 2년 만에 누적 발급수 200만 장을 돌파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온라인 쇼핑 쿠팡 뿐 아니라 배달앱 쿠팡이츠, OTT 서비스 쿠팡플레이 결제금액의 2%를 쿠팡캐시로 적립해주는 점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전월 실적 조건은 없으며, 월 적립 한도는 최대 2만 원이다. 이외에도 국내외 가맹점 이용금액 0.2%를 쿠팡캐시로 적립할 수 있다. 

현대카드의 현대 모빌리티 플래티넘 카드는 현대자동차 특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현대자동차 신차 구매 시 현대자동차 멤버십인 블루멤버스 포인트 2%를 적립할 수 있다. 또 현대 인증중고차 업종 이용 시 이용금액과 무관하게 1.5% 포인트도 적립 가능하다. 

이외에도 주유·가스 충전·정비·주차·세차·하이패스 등 차량 유지관리 업종과 철도, 고속·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쏘카·타다 등 모빌리티 이용 실적에 따라 포인트가 차등 적립되며 최대 4.5%까지 적립된다. 

올해 7월 출시된 KTX 삼성카드는 한국철도공사 가맹점 이용 시 결제금액의 5%를 KTX 포인트로 적립해 출장이 잦은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카드로 꼽힌다. 전월 실적에 따라 40만 원 이상 1만 포인트, 80만 원 이상 1만5000포인트, 150만 원 이상 3만 포인트가 적립된다. 

또한 전월 실적이나 적립 한도와 관계없이 국내외 모든 가맹점 결제 시 0.5% KTX 마일리지도 적립된다.

올해 7월 출시한 하나카드의 새마을금고 MG+는 간편 결제 서비스 특화 카드로 젊은 층들에게 인기 카드로 꼽힌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SSG페이, 11페이, 스마일페이 등 간편 결제 서비스로 건당 1만 원 이상 결제하면 10%를 할인해준다. 

새마을금고 MG+카드는 전월 실적에 따라 할인 금액이 차등 적용된다. 30만 원 이상이면 월 최대 1만5000원, 100만 원 이상이면 월 최대 6만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올해 4월 출시된 롯데멤버스 롯데카드는 이용한 롯데멤버스 브랜드 개수에 따라 최대 5% 적립되며, 특히 오프라인 쇼핑에 최적화된 카드다. 적립 대상 브랜드는 쇼핑 10개(롯데백화점·마트 등), 외식 3개(롯데리아 등), 레저 6개(롯데월드·호텔 등), 특화몰 1개 총 20개다. 

이용 브랜드 개수가 1~2개일 경우 1% 적립되며 3~4개일 때 3%, 5개 이상일 때 5%의 L.POINT가 적립된다. 단 전월 실적이 50만 원 이상이어야 적용된다. 이외에도 국내외 가맹점에서 이용 시 0.5%의 L.POINT를 적립한다. 

한편 연회비는 새마을금고 MG+ 하나카드가 국내·해외겸용 모두 1만700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어 KTX 삼성카드, 쿠팡와우 KB국민카드도 각각 2만 원이었고 롯데멤버스 롯데카드가 3만 원이었다. 

이어 코웨이 신한카드는 국내전용 2만7000원, 해외겸용 3만 원이었으며 현대카드는 7만 원으로 가장 가격이 높았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은서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