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취임 100일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소비자보호 내세웠지만 인사 지연·보유 부동산 문제로 빛 바래
상태바
취임 100일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소비자보호 내세웠지만 인사 지연·보유 부동산 문제로 빛 바래
  • 박인철 기자 club1007@csnews.co.kr
  • 승인 2025.11.19 0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오는 21일 취임 100일을 맞는 가운데 '금융소비자보호'를 최우선 가치를 내걸고 개혁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그러나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이 지연되면서 가시적 성과가 나오지 않고 과거 다수 부동산 거래 내역 등 개인사가 불거지면서 정책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평가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 '소비자 보호' 최우선 강조... 벨기에펀드·백내장 실손보험 직격탄 지적

지난 8월 14일 취임한 이 원장은 취임 일성부터 '소비자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며 업권별 간담회부터 빠르게 소화하기 시작했다. 

그는 금융경력이 없다는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 취임 후 열흘 만에 은행장 간담회를 여는 것을 시작으로 한 달 만에 전 업권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어 상견례와 의견수렴에 나서는 등 발빠르게 시장에 진입했다. 

그 과정에서 그가 던진 화두는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였다. 이 원장은 근본적인 소비자보호를 위해 금융권에 모든 업무에서 소비자보호를 최우선 순위로 삼는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정착을 강조했고 구체적으로 금융소비자총괄책임자(CCO)의 독립성 강화, 핵심 성과지표(KPI) 개선 등을 제시했다. 
 


취임 직후 불거진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란 역시 내부 반발을 수습하고 '소비자보호' 중심의 금감원으로 포지션 변화를 시도한 점도 성과로 꼽힌다. 

금융감독체계 개편으로 금감원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쪼개질 위기에 처하자 이 원장은 내부 반발을 다독이면서 결과적으로 금소원 분리가 무산되면서 내부 직원들로부터 신임을 얻기도 했다. 

최근에도 다수 분쟁이 발생한 금융사고에 대해 직격탄을 날리며 소비자보호 강화 기조를 줄곧 강조하고 있다. 

지난 13일과 18일에 열린 금융소비자보호 중심의 금융감독 전환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벨기에펀드 ▲백내장 실손보험 등 금감원에 다수 분쟁이 접수된 사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냈다. 
 
◆ '선언'만 있고 '성과'는 없다? 인사지연-개인사 문제 불거져

이 원장이 취임 후 전 업권을 다니면서 '소비자보호'를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성과가 없다는 평가도 상당하다. 

우선 이 원장이 곧 취임 100일을 맞이하지만 아직까지 임원인사와 조직개편이 진행되지 못하고 오히려 조직개편안에 대한 '설'만 난무하면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임원 인사의 경우 현재 부원장보 2자리가 공석 중이고 이 원장 취임 후 전 임원이 사표를 제출해 재신임을 얻는 절차를 밟고 있다. 당초 이 달 중순께 임원 인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연말까지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원장이 구상한 임원 인사안이 대통령실로부터 반려됐다는 내용과 수석부원장 유임을 두고는 금융위원회와 신경전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는 등 난맥상을 거듭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금감원 인사는 임원 인사 후 국·팀장급, 일반 직원 순으로 이어진다. 임원 인사가 늦어지면서 후속 국·팀장급 인사까지 줄줄이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내부에서도 동요가 있다는 전언이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금융소비자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말로는 외치지만 금소처 분리가 물 건너가는 등 눈에 띄는 활동이 보이지 않는다. 금융회사들이 잘못했으면 적극적으로 행정 지도를 해줬으면 하는데 그런 모습도 없다”고 꼬집었다.

이 원장 '개인사' 논란도 부담이다. 이 원장은 2017년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실행위원 시절 한 외부 강연에서 개헌 조항 예시 문항을 소개하면서 “실거주 수요자가 소유하는 걸 원칙으로 하고 다주택 보유자는 성격 같아서는 금지 조항을 넣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2002년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 매입 후 해당 강연을 한 뒤 2년이 지난 2019년 같은 아파트 내 한 채를 추가 매입한 것이 드러났다.

아파트 두 채 외에도 지난 2002년 서울 금호동 상가를 경매로 매입했고 2009년에는 배우자가 경매로 매입한 서울 중구 오피스텔 상가를 2014년에 증여 받는 등 활발한 부동산 투자로 '이율배반적 태도'라는 지적도 받았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는 소통을 잘한다는 평가도 있지만 국감 때의 모습을 보면 아직 업무 파악이 덜 된 모습도 보인다”면서 “그간의 비금융 경력이나 취임 기간을 고려하면 업무를 다 파악하기 힘들 수 있지만 금감원장이란 자리를 생각하면 (퍼포먼스를) 더 보여줘야 할 것”이라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