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원장은 20일 오전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신전문금융업권 CEO 간담회’에서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한 카드업권의 책임감 있는 모습을 당부했다.
그는 “최근 카드사의 고객정보 유출사고는 카드업권의 소비자 보호에 대한 안일한 인식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며 “금융보안과 정보보호는 금융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직결되는 만큼, 금융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강화하고, 재발 방지에 힘을 써줄 것”을 강조했다.

이어 다단계 PG를 통한 복잡한 지급결제 구조가 소비자 보호를 저해하는 데 원인이 됐다고 지적하면서 카드거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카드업권의 책임있는 역할을 언급했다.
정부도 PG를 통한 카드결제에 대한 규율체계를 조속히 마련하고 복잡한 거래 구조에서 나타나는 사각지대로부터 금융소비자를 보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캐피탈업권에게는 소비자 편의개선을 위한 신성장동력 모색을 당부했다.
이 위원장은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소비 행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실에 발맞춰 캐피탈업권도 본업과 연계된 다양한 부가상품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등 혁신적인 사업 모형을 고민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부도 현재 본업 실적 한도 내로만 취급이 허용되는 캐피탈사의 렌탈 취급한도를 완화하는 등의 제도개선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기술금융업권에게는 생산적 금융에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신기술금융사의 투자 역량 강화를 위한 업권의 제도개선 요구를 잘 알고 있다”라면서 “타 투자기구 대비 자유로운 운용과 같은 신기술금융사의 장점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업계와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제도개선과 함께 노력해야 하는 것이 출자자와 피투자기업을 두텁게 보호하는 것”이라며 “창업자가 실패를 경험삼아 재도전할 수 있도록 초기 창업기업의 개인 창업자에게까지 과도한 연대책임을 물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카드업계는 “정보보호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면서, 책임 있는 자세로 금융소비자 보호에 빈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간 지급결제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카드사가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도 주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미성년자에 대한 체크카드 발급연령 확대 및 후불교통카드 이용한도 상향을 건의했다.
캐피탈업계도 “정부 정책 방향에 맞춰 소비자 중심 금융, 생산적 금융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캐피탈사의 보험대리점, 통신판매업 영위 등 새로운 겸영·부수 업무를 허용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 위원장은 ▲부모 동의를 전제로 미성년자 체크카드 발급 연령 확대 ▲후불교통카드 이용 한도 현실화 ▲캐피탈사의 통신판매업 허용 ▲렌탈 취급한도 완화 등 전향적인 검토를 할 것을 약속했다.
이어 “여신전문금융업권은 수신 기능이 없어 본질적으로 자금조달에 외부차입 의존도가 높은 만큼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라며 “양질의 일자리를 통해 경제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기 위해 청년 일자리 확대에도 적극 동참해 줄 것”을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은서 기자]
